'페이지터너'라고 들어보셨나요? ‘페이지(page)’를 넘겨주는 사람(turner)’입니다. 음악회에서 연주자 대신 악보 넘겨주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죠. '넘순이' '넘돌이'라는 별명으로도 많이 불리는데, 한국에선 여성 페이지터너 즉 ‘넘순이’가 훨씬 많은 편입니다. (아, ‘페이지터너’에는 다른 뜻도 있습니다. ‘책장이 술술 넘어가는 재미있는 책’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합니다.)
모든 음악회에 다 페이지터너가 나오는 건 아닙니다. 보통 독주곡이나 협주곡은 암보로 연주하기 때문에 페이지터너가 없죠. 그러나 여럿이 연주하는 실내악이나 피아노 반주의 경우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악기 중에서도 특히 피아노 악보는 음표가 많고 복잡해서 연주자가 직접 넘기기가 쉽지 않죠. 그래서 피아니스트 옆에 페이지터너가 앉게 됩니다.
페이지터너는 유료로 전문인력을 고용하는 경우도 있고, 연주자와 친분이 있는 후배나 제자가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악보를 읽을 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음악 전공자가 하는 경우가 많죠. 음악적 지식은 기본이고, 공연 내내 한 음이라도 놓치지 않는 집중력을 갖춰야 하며, 피아니스트와 호흡을 맞춰야 합니다.
페이지터너는 연주자의 옆에 조용히 앉아있다가 적당한 시점에 일어나 연주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왼손으로 악보를 넘겨주고 다시 앉습니다. 악보를 넘기는 시점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어떤 연주자는 조금 일찍 넘겨주기를 원하고, 어떤 연주자는 딱 맞춰서 넘겨주길 원합니다. 어떤 사람은 페이지터너가 여유 있게 일어나서 악보를 넘길 준비를 하길 원하고 어떤 사람은 미리 일어나는 게 신경에 쓰인다고 싫어합니다. 이렇게 연주자마다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페이지터너는 이를 잘 파악해서 제 때 넘겨주는 센스를 발휘해야 합니다.
‘페이지터너’는 연주 내내 무대 위에 있지만, 무대 위에서 돋보이면 절대 안 되는 사람입니다. 연주자도 페이지터너를 의식하지 못할수록 훌륭한 페이지터너라고 할 수 있죠. 페이지터너는 장신구 없이 수수한 차림으로 연주자를 돋보이게 해야 합니다. 보통은 무난한 검정색 정장을 많이 입습니다. 또 연주자와 함께 무대에 입장 퇴장해서도 안되고, 적당한 간격을 두고 조용히 뒤따라가야 합니다. 객석의 박수에 답례할 수도 없습니다. 연주에 쏟아야 할 관심이 분산되지 않도록 악보를 넘길 때 이외에는 움직이지 않고 있어야 합니다.
저는 8시뉴스 보도를 위해 지난달 열린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중 하루를 골라 페이지터너를 취재했습니다. 공연을 보면서 페이지터너에 주의를 기울이니 예전에는 보지 못한 것들이 새롭게 보이더군요. 이 날 페이지터너는 피아니스트 김영호 씨의 제자 선다운 씨였습니다. 2009년부터 페이지터너를 했다 합니다. 악보를 넘기느라 잠깐씩 일어나는 것 외에는 공연 내내 미동도 않고 피아노 옆 의자에 앉아있는 모습을 보니 정말 힘들겠다 싶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연주가 끝나고 연주자들이 인사할 때 페이지터너가 살짝 일어나 피아노 뒤로 숨는 모습이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 평소 같았으면 연주자에게 주의를 기울이느라 페이지터너가 어디로 갔는지 의식도 못했을 겁니다. 자신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도록 피아노 뒤에 서서 소리 안 나게 작게 손뼉을 치는 페이지터너의 모습을 보니 마음이 뭉클해졌습니다. (이 모습도 무대 정면에서는 잘 안 보입니다. 나중에 무대 옆에서 찍은 화면을 보니 확실히 드러나더군요) 공연이 끝나고 페이지터너 선다운 씨를 인터뷰했습니다.
“연주자만큼은 아니지만, 저도 연주 내내 긴장을 하게 돼요. 하지만 좋은 페이지터너는 그런 것조차 드러내지 않고 연주자를 편하게 해 줘야 해요. 저는 연주자가 만족하는 게 페이지터너에게 가장 중요한 거 같아요. 그래서 그런 역할을 좀 더 잘 수행하고 싶은 거죠.”
피아니스트 김영호 씨에게 물으니 페이지터너의 역할은 ‘연주의 일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하다며, ‘보이지 않는 연주자’라고 표현했습니다. 특히 현대 곡에서는 페이지터너가 악보만 넘기는 게 아니라 악보에 표시된 대로 피아노 내부 현을 두드리거나 튕기는 등의 역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김영호 씨는 ‘페이지터너의 실력이 공연의 질을 좌우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라고 했습니다.
“연주자들은 지금 연주하고 있는 그 음을 보는 게 아니라 항상 그 앞을 보면서 연주하거든요. 그 타이밍이 연주자마다 조금씩 다를 거예요. 페이지터너가 이걸 파악해서 호흡을 맞춰서 넘겨줘야 연주가 매끄럽게 진행되죠. 그렇지 못할 때는 굉장히 불안하고 연주자가 실수를 하게 되는 경우도 생기죠. 제가 해외에서 공연할 때 일인데, 어떤 할머니가 페이지터너를 하셨어요. 그런데 긴장을 많이 하셨는지 계속 부들부들 떠시더니, 드디어 사고를 내시더라고요. 악보를 떨어뜨리고 만 거예요. (그래서 어떻게 하셨어요?) 할 수 없이 연주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했죠. 정말 난감했어요”
제가 쓴 페이지터너 기사가 지난 금요일(5월 31일) 8시뉴스에 나가고 나서, 한 시청자께서 ‘페이지터너가 연주자와 호흡이 맞지 않아 연주하던 피아니스트가 중간에 페이지터너 손목을 잡고 저지하는 광경을 본 적도 있다’고 트위터를 통해 전해오셨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내내 페이지터너에 신경이 쓰여서 공연을 제대로 감상할 수가 없었다고 하셨어요.
민감한 연주자들은 페이지터너 없이 직접 악보를 넘기면서 연주하기도 합니다. 연주 내내 바로 옆에 누군가 앉아있다는 것 자체가 신경이 쓰인다는 거죠. 그런데 연주자가 직접 악보를 넘기면, 연주하랴 페이지 넘기랴 굉장히 바빠서 보는 사람도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저는 몇 년 전 바이올리니스트 안네 소피 무터 내한공연에서, 반주를 맡은 피아니스트가 직접 악보 넘기는 게 신경이 쓰여 연주에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요즘은 전자 악보를 쓰는 연주자들도 점차 늘고 있습니다. 전자악보는 휴대가 쉽기도 하지만, 손이나 발 터치로 간편하게 악보를 넘길 수 있어서 페이지터너가 없어도 됩니다. 피아니스트 안젤라 휴이트가 얼마 전 내한공연에서 전자 악보를 들고 나왔는데, 페달 옆에 설치한 연결장치를 발로 밟아서 악보를 넘겼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는 손열음 씨가 종종 아이패드 전자악보를 사용하는데, 가벼운 손 터치만으로 악보를 넘길 수 있어서 편리하다고 했습니다. 손열음 씨의 전자악보는 오른쪽을 터치하면 다음 장으로 넘어가고, 왼쪽을 터치하면 앞 장으로 되돌아가게 돼 있더군요. 터치에 민감해서 두 장이 한꺼번에 넘어가지 않을까 걱정스럽기도 했는데, 손열음 씨는 “그러면 다시 앞으로 넘기면 돼요” 하고 깔깔 웃었습니다.
하지만 전자악보는 전원이 꺼지거나 오작동할 가능성도 있어서 아직 전반적으로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앞으로도 당분간 종이악보가 사라지는 일은 없을 듯합니다. 종이악보가 쓰이는 한 페이지터너 역시 없어지지 않을 겁니다. 눈에 잘 띄지는 않지만 음악회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보이지 않는 연주자’, ‘숨은 연주자’로 계속 무대를 지키겠지요.
공연 한 편이 무대에 오르기 위해서는 무대 뒤 음지에서 일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이들의 가장 큰 목표는 출연자들이 무대에서 빛나게 하는 것, 즉 좋은 공연을 만드는 것이겠지요. ‘페이지터너’는 그 중에서도 특이한 존재입니다. 무대 위에 있으면서도 드러나지 않는 역할이니까요. 앞으로 음악회에 가시면 한 번쯤은 ‘숨은 연주자’ 페이지터너에도 관심을 기울여보시면 어떨까요?